전체 글26 <사림파와 훈구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2 오늘은 지난 사림파에 대해 알아본 데 이어 밀접한 연관이 있는 훈구파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훈구파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 학자들을 가리킵니다.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 공신, 훈구대신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용어였지만 성종 후반 이후 세력이 확립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와 구별하기 위해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훈구파는 세조 찬위를 도운 공신과 충신, 어용학자 및 관학파와 권문세족의 자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높은 관직에 등용되었고 막강한 권력을 이용하여 무역에도 관여하고 공물 방납을 통해 경제적인 이득을 취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공신전을 받아 막대한 토지를 소유함으로써 상.. 2022. 5. 22. <사림파와 훈구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1 오늘은 조선 중기 정치 집단에서 빠질 수 없는 사림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사림파는 15세기 이후에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집단으로 사림이란 전원의 산림에서 유학을 공부하는 문인, 학자를 뜻합니다. 사림은 고려 말부터 지방의 중소 지주 출신 사대부 가운데 중앙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지방에서 영향력의 행사하던 세력을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이들은 조선 건국 당시에 역성혁명을 반대하고 주로 향촌 사회에서 세력을 형성했습니다. 또한 유림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온건파 사대부를 계승했습니다. 고려 말의 유학자 '길재'는 은퇴하고 고향에서 후진 양성에 힘을 쏟았는데 그 결과 영남 일대에 그의 제자가 많이 배출되어 조선 유학의 주류를 이루었고 훈구파에 맞서 사림파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성종은 합리적.. 2022. 5. 22. <조선 전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조선은 전기, 중기, 후기로 나뉘는데 오늘은 조선의 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고려 말의 시기에는 '철령위'문제로 밖으로는 명나라와 안으로는 친원파, 친명파가 대립하고 있었습니다. 그에 따라 고려는 요동을 정벌하기 위해 '최영'을 중심으로 요동 정벌군을 편성하였습니다. 우군 도통사를 맡았던 이성계는 좌군 도통사 조민수와 논의하여 당시 평양에 있던 최영 장군에 회군을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이성계가 직접 조민수와 개경으로 군사를 돌려 회군을 강행했고 이 사건이 조선의 건국을 있게 한 위화도 회군입니다. 고려의 무신이었던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쿠데타를 일으켰습니다. 정권을 잡고 창왕, 공양왕 등을 왕위에 올렸다가 폐위시키는 등 정권, 군권을 장악하고 전제 개혁을 단행하는 등 경제적인 실권까지 장악.. 2022. 5. 21. <조선>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조선의 건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의 신흥 무인 세력이었던 이성계는 고려 왕조의 명령으로 명나라를 정벌하러 가는 도중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에 군사 정변을 일으켰습니다. 그는 정권, 군권, 경제권을 행사하였고 전제 개혁을 단행하였습니다. 이성계는 창왕, 공양왕을 왕위에 올렸으나 신돈의 자식이라며 사건을 조작하여 폐위시키기도 하였습니다. 공양왕 때 왕대비에게 준 옥새를 이성계가 받아들여 주변 측근들의 추대로 왕위에서 오르면서 조선왕조가 시작되었습니다. 국호를 조선으로 하고 한양을 도읍으로 하며 '재상 중심 정치'를 꿈꾸었던 정도전을 중심으로 고려의 기존 제도를 급진적으로 고쳤습니다. 왕권을 양위 받은 태조의 아들 태종 이방원은 특권층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 사병들을 강제 해산하여 조선군에 편입하고 호패법.. 2022. 5. 20. 이전 1 2 3 4 5 6 7 다음